최종편집:2025-07-16 오전 10:24:5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기타

월방산이야기9 - 오봉산고분군 ②

봉천사 지정 스님
이동재 기자 / press@mgtimes.co.kr입력 : 2020년 10월 29일
함창에 있는 오봉산 고분군은 AD 3세기 전후에 조성된 것으로 1800년의 신화를 안고있는 타임캡슐이다. 당시 지배층의 첨단문화와 생활양식을 담고 있으므로 신라시대 경주의 화려한 금관총 이상의 귀중한 유산이 아닐 수 없다. 한반도에 남아있는 그 어떤 역사유물의 권위보다도 우수하며 압권이다. 아직 숨이 붙어있는 고대의 위대한 타임캡슐을 죽이지 않고 잘 살려내면 함창을 비롯한 문경상주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이다.

삼국사기 권34 잡지3 편에는 함창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古寧郡 本古寧加耶國 新羅取之 爲古冬攬郡 一云古陵縣.景德王改名 今咸寧郡.領縣三 嘉善縣,冠山縣,虎溪縣 「고령군은 본래 고령가야국으로 신라가 이를 취해 고동람국으로 삼았다. 한편 이르기를 고릉현 이라고도 했다. 경덕왕이 이름을 바꿔 지금은 함녕군이라 부른다. 3현을 거느리고 있으니 가선현(가은),관산현(문경)호계현이 그들이다」 길지않은 원문을 번역함에 있어 이 외에는 다른 뜻이 있을 수 없다. 


근래 가야를 연구한 김태식 교수의 논문을 보면 경덕왕이 고을이름을 바꾸었기 때문에 옛날에 고령이라는 지명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것은 잘못된 해석이며 원문을 제대로 한번이라도 봤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한편 그의 노(老) 스승격인 이병도 박사의 견해를 빌리자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나와 있는 고령가야는 거리상으로 멀어 6가야로 비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삼국유사 권1 기이5 가야편에는 하늘에서 알 여섯개가 구지봉에 내려왔으니 제일 큰 것이 부화하여 수로왕이 되었다. 나머지 다섯은 지금의 함창 고령가야, 성산 성주가야, 고령 대가야, 창녕 비화가야, 고성 소가야를 개척했다고 쓰여있다. 이들 6가야는 소가야를 제외하고는 모두 낙동강을 근거지로 발생했다.

이들은 낙동강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뱃길을 이용하면 고대의 고속도로 역할을 했던 것이다. 이로 미루어보면 이병도교수의 거리 주장도 전혀 설득력이 없는 것이다. 지금껏 함창 오봉산 고분군은 대부분 도굴로 노출되었으며 제대로 된 연구나 학자들에 의한 발굴이 전무한 상태다. 온 산천이 도굴의 흔적이 낭자하며 4차선도로가 개통되면서 어쩔 수 없이 드러난 유물들을 수습한 것이 전부다. 그렇게 수습한 유물이 2만점이 넘는다고 하니 전체규모를 충분히 상상할 수 있다.


현재 알려진 고분의 수는 650여개에 이르며 처녀고분도 상당수 있다고 추정한다. 70년대까지만 해도 교통이 불편했으며 인터넷이 활성화 되지 않았고 전문서적열람도 제한되었던 만큼 심층조사는커녕 답사마저도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답사 한번 하지않은 탁상공론으로 일관한 학자들의 단견을 이제는 서둘러 바로잡아야 할 시점이다. 함창 고분군이 기념물로 지정된 것이 1998년이며 6~70년대까지만 해도 옛사람들이 말하는 고려장 이상의 인식이 없었다고 한다.

이번기회를 계기로 함창 고령가야의 위상을 정립하여 발굴과 학술대회가 꾸준히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그래서 명실상부한 상주의 역사적 지리적 위상을 제고하고 새로운 시대의 선도도시로 재도약하는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함창을 비롯한 상주의 6가야 역사는 창녕이나 고령, 성주 등과 비교할 수 없는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경상도를 대표하는 경주, 진주와 함께 3대 역사도시인 만큼 역사적 배경을 받쳐줄 대단위 유적과 유물의 발견은 도시의 위상을 상당히 제고함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지난번 권창희 석재공장 대표의 안내로 세 번 답사한 이후로 지난 27일에는 더 많은 전문가들의 참여가 있었다. 이번에도 권창희대표의 안내로 경기도 박물관장을 역임한 조유전박사, 경북대 역사학 허흥식교수, 별자리 연구전문가인 김일권교수, 상주박물관 윤호필관장, 국외문화재 반송위원장 만성스님, 상주시 문화예술과장 김영규 외 2인, 신동희 함창읍장, 김용길 전 점촌중학교장, 원주민 김순철 등이 참여하였다.


고분군이 근본 주제지만 이번에는 고분군 아래 거석에 새겨진 300여개에 달하는 구멍에 대한 답사가 주였다. 가로8m, 세로5m, 높이3m의 판석위에 새겨진 돌구멍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연세는 조유전 관장이 많지만 별자리전문가인 김일권교수와 고인돌전문가인 윤호필관장님의 의견을 심도있게 들을 수 있었다.

오랜 세월 많은 현장체험을 바탕으로 수많은 역사사료 업적을 남긴 허흥식교수의 열정적인 설명은 많은 것을 암시했다. 오봉산 성혈석은 우리나라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돌의 규모가 크며 구멍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봉산 성혈석과 비슷한 예는 함안 아라가야 고분 천정돌과 고령 대가야 고분 앞의 성혈석 등 특히 6가야 고분 주위에는 예외없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고 한다. 조성연대는 정확히 비정할 수 없으며 원래의 목적은 다산과 풍요를 비는 주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 다음으로 별자리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하며 특히 은하수를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고 했다. 큰 구멍 대여섯 개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작은 구멍이 패여진 것도 여럿 볼 수 있다. 큰 구멍은 밝은 별일 수 있고 작고 얕은 것은 희미한 별일 수 있다. 은하수 외에 북두칠성, 남두육성을 말하는 분도 있었다. 한편 권창희대표는 조심스럽게 고분군 분포지도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견해도 내놓았다.

성혈석 뒤편으로는 고분군이 들어앉은 산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아래쪽 우편으로 100m 거리 밭에는 7~8년 전만해도 무너진 석탑무더기와 큰 절터가 있었다고 한다. 탑 옆에는 절에서 쓰던 샘이 있어서 수도가 들어오기 전에는 모든 주민들이 그 우물을 사용했다고 한다. 지배층의 집단무덤이 있고 별자리를 헤아리는 첨성대가 있고 대단위 종교시설이 있었다는 것은 옛 왕실의 존재를 생각할 수 있다. 눈앞으로 끝없는 평야가 펼쳐지고 그 뒤로 높은 산들이 둘러싸고 내륙 깊숙이 물길이 들어온 만큼 분명 도읍지의 입지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사람들이 전국에서 모인만큼 늦게 도착한 사람들이 있어서 답사를 마치고 식당에 도착하니 오후3시가 되었다. 도로가 막히고 작은 사고가 생기는 바람에 12시에 마칠 수 있는 일정이 3시가 되어서야 마무리 되었다. 함창 오봉산 고분군은 점촌지역의 젖줄이 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적인 만큼 상주 못지 않는 관심과 기여가 있어야 한다. 점촌터미널에서 승용차로 4분 거리의 지척에 오봉산 고분군이 2천년을 숨죽인 채 누워있다.



이동재 기자 / press@mgtimes.co.kr입력 : 2020년 10월 29일
- Copyrights ⓒ문경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가장 많이 본 뉴스
정치·행정
문경시는 7월 8일(화) 문경시청 대회의실에서 민선 8기 취임 3주년 기념 언론인.. 
문경시와 문경관광공사는 지난 7월 2일부터 6일까지 대구 두류공원 일원에서 열린 .. 
문경시는 7월 7일 시청 제2회의실에서 시장 주재로 ‘청렴문화 조성 실천방안 점검..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3선, 경북 상주 문경)이 7월 4일, 제22대 국회 기획재.. 
문경시는 7월 1일(화) 오전 시청 대회의실에서 신현국 시장의 민선8기 취임 3주.. 
기획
초겨울로 접어든 쌀쌀해진 날씨에 가족, 친구들과 함께 휴식하기 좋은 문경관광진흥공단(이사장 신필균)의 불정자연휴양림을.. 
김용사 탁무(鐸舞) 취호.. 
최신뉴스
등굣길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 전개..  
문경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담 TF 본격 가동..  
여름보다 뜨거운 경쟁, 제3회 문경 트롯가요제 2차 예선 돌입..  
문경시 바르게살기, 2025 건강백세를 위한 하하하 운동 실시..  
문경시장애인종합복지관, 민관협력통해 중증장애인가정 주거환경개선 사업 진행..  
문경관광공사 농특산물직판장, 2025년 휴게소 음식 FESTA 홍보부스 운영..  
문경시, 2025 신성장 동력 TF팀 현장 워크숍 개최..  
문경시,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캠프로 자신감을 쑥쑥..  
문경시, 7월은 정기분 재산세(주택, 건축물) 납부하는 달!..  
문경시1인창조기업지원센터,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팝업스토어 운영..  
문경시, 영순면 생활문화센터 준공식 개최..  
문경시종합자원봉사센터, 폭염극복‘쿨(cool)! 얼음물 나눔 캠페인’실시..  
2025 공연예술 지역 유통지원 사업..  
2025년 한국생활개선문경시연합회 한마음대회 개최..  
문경시-소상공인연합회 정책·소통 간담회 개최..  
필드하키장 준공식 개최..  
점촌 4동 새마을회, 사랑의 영농작업 실시..  
산북면 이장자치회, 7월 정기회의 개최..  
문경시, 점촌3동 노후주택 개선사업 주민설명회 개최..  
윤대범·여명옥 부부, 문경시장학회 장학금 100만 원기탁..  
2025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 생활체육 배구대회 개최..  
제35회 한국장년연맹회장배 전국 소프트테니스대회 개최..  
문경시, “플레이스비”활용 초등학생 도로명주소 교육..  
마성면 주민자치위원회, 주민자치 활성화 프로그램 개강..  
마성면, 경로당 방문으로 폭염 대비 어르신 안부 인사..  
제1회 경북문경연가 디카시공모전, 디카시의 새 이정표를 쓰다..  
문경의 어머니들이 그려낸 인생의 사계절, 작은미술관에서 피어나다..  
문경시, 찾아가는 안전취약계층 안전교육 실시..  
문경시, 2025년 일반음식점 기존영업주 위생교육 실시..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3,724
오늘 방문자 수 : 944
총 방문자 수 : 9,320,399
제호 : 문경타임즈 / 주소: (우)36981, 경상북도 문경시 우지공평로 21 / 발행인·편집인 : 김재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재용
mail: press@mgtimes.co.kr / Tel: 054-554-8277 / Fax : 054) 553-8277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475 / 등록일 : 2018년 7월 12일
Copyright ⓒ 문경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후원 : 농협 301-0236-3322-81 / 예금주 : (주) 청운